샴푸를 내던지고, 물로만 머리를 감은 지 거의 5주가 되어간다.
큰 아드님이 지난 3월경부터 샴푸 없이 물로만 머리 감기를 시작해서 6개월쯤 되던 9월 초부터, 나도 과감히 시작했다. 궁금해서 큰 아이의 머리 냄새를 맡았지만 기분 나쁜 냄새가 나지는 않았다, 내 몸으로 직접 확인하고 싶었다. 아드님에 따르면 처음에는 끈적하고 찜찜한 느낌으로 불편한데 오래지 않아 효과가 나타난다고 했었다. 그 효과라는 것이, 두피를 보호하는 천연 기름막이 유지되어 건조함으로 인한 비듬이나 가려움, 탈모 등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이었다.
처음 3, 4주 동안은 머리를 감아도 말끔한 기분은커녕 기름기로 인해 엉겨 붙는 느낌과 머리 냄새가 가시지 않는 듯했다. 그러다가도 물기가 마르면 그럭저럭 머리 감은 기분이 나는 듯해서 좀 더 견뎌보자고 생각하며 참았다. 물기를 닦은 수건에서는 상큼하지 않은 정수리 냄새가 났다. 간혹 집사람한테 머리 냄새 좀 맡아 달라는 불편한 요구를 하기도 했는데, 내가 느끼는 것보다는 머리 냄새가 심하지 않다는 대답을 들었다. 그 말에 용기를 얻어 지속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4주가 넘어설 즈음, 물로 머리카락과 두피를 마사지하듯이 부드럽게 씻어내고, 물을 채운 대야에 2, 3 큰술 정도의 식초를 섞어서 다시 머리를 감은 후, 깨끗한 물로 헹궈냈다. 식초 때문인지 머리카락이 한결 부드러워지고 개운했다. 라면 끓일 때 막판에 식초 몇 방울 넣으면, 기름기가 가신 국물이 깔끔해지고, 면도 훨씬 부드럽고 쫄깃하다더니 머리카락에 미치는 영향도 비슷한가 보다. 내가 느끼는 머리 냄새의 정도도 훨씬 덜하게 느껴졌다. 수건에서도 냄새가 덜 났다. 피부가 매일 매일 세제에 의해 강탈당하는 기름기를 서둘러 보충하기 위해 과도하게 배출하지 않는 신호로 여겨졌다.
용기를 조금 더 보태서 한술 더 뜨기로 했다. 샤워도 물로만 하기로 한 것이다. 물론 주요 부위는 물로만 씻을 수는 없는 노릇이라 인공 향이 첨가되지 않은 천연 비누로 씻고 나머지 부위는 물로만 마사지하듯이 씻었다. 샤워 세제로 씻을 때의 미끈함, 향기, 과도한 거품 등은 없다. 그런데 몸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기름막이 제거되지 않아서인지 가려움이 전혀 없다. 난방 가동 시간이 잦아지고 길어짐에 따라, 공기가 건조해져서 바디로션을 발라도 가끔 심하게 가려울 때도 있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흔히 보이던 피부 각질도 눈에 띄게 줄었다. 샤워 후에 무취의 무자극 로션을 발라주면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공격은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화학 제품을 쓰느냐 안 쓰냐는, 어쩌면 기분 문제일 수도 있다. 주방 세제를 안 쓰면 무수한 세균에 노출되어 알게 모르게 감염될지도 모른다는 그런 찜찜한 기분 말이다. 향기를 뿜기 위해 사람들은 향수 외에도 섬유 유연제, 샴푸, 샤워젤, 헤어젤, 헤어스프레이, 바디워시, 로션, 구강 청정제, 청결제 등을 수시로 사용하며 뒤집어쓰다시피 하고 있다.
가끔은 누군가의 값싸고 자극적인 향이 너무 진해서 불편함을 느낄 때도 있다. 반면 여인이 찰랑거리는 머리카락을 휘둘러댈 때 풍기는 풍성한 향이 상쾌함을 뿌려 주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의 신체는 자연적으로 청결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능력을 원천적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청결과 미용을 빌미로 상업주의가 무차별적으로 뿌려 놓은 인공 화학물질들을 필요 이상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냉철하게 살펴봐야겠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2024년 10월
그렇게 꽤 오랫동안 물로만 머리를 감다가, 결국 저자극 천연 비누로 머리를 감게 됐다.
내가 사는 곳은 농경 사회가 아니고, 집에서만 머물 수 있는 처지가 아니기에, 또한 더위와 미세먼지에 절은 몸과 머리를 상큼하게 해야 하기에 비누를 사용하게 됐다.
어떤 비누를 썼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머리의 가려움이나 비듬 같은 원치 않는 것들을 제거해 주는 비누는 분명히 있었다.
피부의 흡수율은 부위마다 다르다. 눈꺼풀이나 생식기 주변의 흡수율이 가장 높다고 한다. 따라서 청결제나 바디워시의 성분은 피부 겉면만 씻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체내로 흡수된다.
두피에는 모발을 유지하기 위한 모낭이나 피지선이 가장 많이 발달해 있고 이에 따른 혈류량이 많아, 흡수 경로가 다양하고 빠르게 순환계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따라서, 신체든 두피든, 다양한 화학물질이 혼합된 세제보다는 비누를 사용하는 것이 인체 건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Washing with Only Water
Exploring the benefits of washing hair and body with only water—reducing chemicals, protecting skin, and embracing natural self-cleansing.
condepark.blogspot.com
'정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새로운 전망 (4) | 2025.07.23 |
---|---|
일론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창당 (6) | 2025.07.18 |
스테이블 코인이 뭐지? (3) | 2025.07.15 |
미국 공항에서 신발 벗는 일, 이제 끝 (0) | 2025.07.15 |
메타의 스마트 안경, 초점 맞춰지다 (2) | 2025.07.15 |
장속의 미생물이 인간의 뇌와 정신에 어떻게 영향을 줄까? (2) | 2020.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