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이 전 세계의 '돈의 흐름'과 '금융 시스템'을 크게 바꾸는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세상이 확 바뀐 것처럼, 스테이블 코인도 그런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스테이블 코인은 '안정적인 코인'이라는 뜻 그대로, 코인 1개가 특정 나라의 돈(예: 1달러)과 똑같은 가치를 가지도록 만들어진 디지털 돈입니다. 비트코인처럼 가격이 마구 오르내리지 않고, 달러처럼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죠.
[관련 글 참조]
스테이블 코인이 뭐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안정된 코인’이라는 뜻 그대로, 미국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나 실물 자산의 가치에 연동 (Pegging) 되어 설계된 암호화폐 (가상자산)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
deposo.tistory.com
1. 미국은 왜 스테이블 코인을 중요하게 생각할까요?
미국은 스테이블 코인을 '달러의 힘'을 더 키우는 데 활용하려고 해요. 왜냐하면,
미국 국채를 사줄 큰손이 필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회사들은 보통 미국 국채 1를 담보로 가지고 있어요. 스테이블 코인을 쓰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이 회사들이 더 많은 미국 국채를 사게 되니까, 미국 정부는 돈을 더 쉽게 빌릴 수 있게 되는 거죠. 지금 미국은 빚이 많고 국채를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어서, 스테이블 코인이 이 문제를 해결해 줄 '묘수'라고 생각해요.
달러를 전 세계에 더 널리 퍼뜨리고 싶어함: 스테이블 코인의 99.9%는 달러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스테이블 코인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 사람들이 자기 나라 돈 대신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더 많이 쓰게 될 거예요. 이렇게 되면 달러가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돈으로서의 '달러 패권' 2을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간편한 송금 및 결제: 스테이블 코인은 은행을 거치지 않고 디지털 지갑끼리 돈을 주고받을 수 있어서, 해외 송금이 몇 분 안에 가능하고 수수료도 거의 들지 않아요. 특히 자기 나라 돈이 불안정한 남미나 아프리카 같은 곳에서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마치 자기 나라 돈처럼 많이 쓰고 있어요. 미국은 이런 곳에서 자기 나라 돈 대신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쓰게 해서 해외의 돈을 미국으로 끌어오려고 해요.
'지니어스 법안' 통과: 미국은 스테이블 코인을 믿을 수 있게 만들려고 '지니어스 법안'이라는 것을 만들었어요. 이 법안은 스테이블 코인 발행 회사가 발행한 코인만큼 현금이나 짧은 기간의 미국 국채를 100% 담보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정해 놓았습니다. 이는 스테이블 코인이 더욱 믿을 수 있는 디지털 화폐가 되고, 동시에 미국 국채 수요를 늘리는 역할을 하게 하려는 목적이 있어요. 하지만 이렇게 달러의 힘이 커지는 동시에, 미국이 기존에 다른 나라를 제재할 때 사용했던 SWIFT망 3 같은 금융 시스템에 대한 통제력은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요. 4
2. 한국은 스테이블 코인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한국 정부도 스테이블 코인을 관심 있게 보고 있어요. 주로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우리나라 시장을 장악하고, 한국 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한국의 '통화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 5 도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6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필요성: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워낙 편리해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 돈 대신 스테이블 코인으로 월급을 받거나 송금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이렇게 되면 한국 돈의 사용이 줄어들 수 있으니, 우리도 원화 기반의 안정적인 디지털 화폐를 만들 필요성을 느끼는 거죠.
어려운 점: 한국은 이미 신용카드, 삼성페이, 인터넷 뱅킹 같은 결제 시스템이 매우 잘 되어 있어요. 그래서 사실 한국 사람들이 국내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굳이 쓸 만한 '특별한 이유'가 부족하다는 걱정이 많아요.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성공하려면 그것을 통해서만 할 수 있는 특별한 사용처를 만들어야 하는 큰 숙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K-콘텐츠와 연계하거나, 해외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거래할 때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하게 유도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어요.
규제와 인프라: 한국은행은 돈이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해외로 빠져나가거나, 돈의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것(세금 회피 등)을 걱정하고 있어요. 그래서 한국에서도 미국처럼 스테이블 코인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관리하고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NHN 같은 회사들이 원화 스테이블 코인 시스템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7
3. 스테이블 코인이 가져올 미래의 변화
새로운 금융 시스템: 스테이블 코인 덕분에 앞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돈이 움직이는 방식이 완전히 바뀔 수 있어요. 기존에는 은행을 통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던 결제가 훨씬 빠르고 저렴해질 수 있죠.
디지털 화폐 시대: 앞으로는 비트코인, 스테이블 코인, 그리고 CBDC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가 함께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 시대가 될 거예요. 중국은 이미 디지털 위안화를 쓰고 있습니다. 8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스테이블 코인의 확산은 돈을 많이 찍어내는 나라들의 통화 가치를 더 불안하게 만들 수 있어요. 반대로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의 강세를 더 강화시킬 수 있죠.
기업들의 변화: 카드사나 은행 같은 기존 금융 회사들도 스테이블 코인 발행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요. 스테이블 코인으로 인해 기존의 수익 모델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수익원을 찾거나 자신들의 사업을 방어하려는 차원이죠.
결론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은 단순히 코인 시장의 이야기가 아니라, 전 세계의 돈이 움직이는 방식과 금융 시스템 전체를 바꾸는 '혁명'이자, 각 나라의 돈의 힘을 둘러싼 '패권 전쟁'의 중심에 서게 될 거예요. 앞으로 세상이 어떻게 바뀔지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New Outlook on Stablecoins
How stablecoins are reshaping global finance, boosting dollar dominance, and challenging traditional monetary systems in the digital age.
condepark.blogspot.com
- 국채 (Government Bond): 정부가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나중에 원금과 이자를 갚겠다고 약속하는 증서. [본문으로]
- 달러 패권 (Dollar Hegemony): 미국 달러가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화폐로서의 지위를 말함. 국제 무역이나 금융 거래에서 달러가 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함. [본문으로]
- 지니어스 법안 (GENIUS Act): 미국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규제하고 제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안. 이 법안은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가 발행량만큼 현금이나 미국 국채를 담보로 가지고 있도록 의무화하고 있음. [본문으로]
- SWIFT망 (SWIFT Network): 국제 은행 간의 전신환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스템. 전 세계 은행들이 이 망을 통해 안전하고 빠르게 돈을 송금하고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음. 미국이 이 망에서 특정 국가를 퇴출시키면 그 나라는 국제 금융 거래를 할 수 없음. [본문으로]
- 통화 주권 (Monetary Sovereignty): 한 국가가 자국의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며, 통화 정책을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함. [본문으로]
- 원화 스테이블 코인 (Won Stablecoin): 한국의 원화 가치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 1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1원의 가치를 가지는 식. [본문으로]
- NHN: 원래 'NEXT HUMAN NETWORK'의 약자였음. 하지만 현재는 NHN 엔터테인먼트가 NHN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NHN'이라는 이름은 게임, 결제/광고, 커머스, 기술, 콘텐츠 등 다양한 사업 분야를 포괄하는 종합 IT 기업을 의미함.
과거에는 NHN이 네이버와 한게임을 합병하여 만든 회사였고, 이후 분할되어 네이버와 NHN 엔터테인먼트로 나뉘었음. 그러다가 2019년에 NHN 엔터테인먼트가 다시 NHN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현재의 NHN은 종합 IT 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게 됨.
NHN은 현재 게임, 결제, 커머스,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페이코, NHN 클라우드, NHN 커머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웹툰 플랫폼인 코미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음. [본문으로] -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의 약자로, 각 나라의 중앙은행(예: 한국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법정 화폐임. 민간 기업이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과는 달리, 정부가 직접 발행하고 통제하는 것이 특징. [본문으로]
'정보&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창당 (6) | 2025.07.18 |
---|---|
스테이블 코인이 뭐지? (3) | 2025.07.15 |
미국 공항에서 신발 벗는 일, 이제 끝 (0) | 2025.07.15 |
메타의 스마트 안경, 초점 맞춰지다 (2) | 2025.07.15 |
물로만 머리 감고 샤워하기 (2) | 2020.10.22 |
장속의 미생물이 인간의 뇌와 정신에 어떻게 영향을 줄까? (2) | 2020.10.03 |
댓글